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래밍

[Server] 아이피 주소와 서버 구축에 대해서 알아보자

by youngbamer 2021. 9. 29.
반응형
IP란?
  • IP는 Internet Protocol의 약자
  • 이를 위해 컴퓨터의 논리적인 주소를 구분
  • 1비트는 0과 1로 표현이 가능
  • 현재 IP는 32비트 체계를 사용하므로 약 40억개의 주소를 표현 가능, 부족한 실정
  • 196.168.0.1 과 같은 형태의 주소
  • IP 주소는 통신을 위해서 사용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 네이버 같은 주소를 검색하면 DNS Server에서 아이피로 변환해줍니다.

DNS 서버를 통해 아이피 주소를 얻어내서 아이피로 통신을 하는 것

DNS 서버는 국가가 운영

 

nslookup을 통해 확인 가능

223.130.195.95 를 브라우저에 입력해서 들어가면 네이버가 나오게 됩니다.

 

흔히 사용하는 IP 주소 체계를 IPv4라고 한다.

IPv4는 오직 32비트만 사용, 주소로는 40억개 존재

개수의 한계가 존재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해 IPv6라는 새로운 주소 체계가 등장

 

IP의 분류

공인 IP : 세계에서 단 하나만 존재하는 IP 주소

사설 IP : 공유기를 이용해 만들 수 있는 가상의 IP 주소, 사설 IP에 접근하려면 무조건 공인 IP를 거쳐야 한다. 공인 IP 주소는 각각 다르지만 사설 IP 주소는 공인 IP에 의해 만들어지므로 중복될 수 있습니다.

고정 IP : 해당 컴퓨터의 IP 주소를 고정적으로 사용

유동 IP : 수시로 변화하는 IP 주소

 

@유튜브 나동빈 / R1, R2는 공인 IP

 

공인 IP 가 필요할 때

만약 네이버의 IP가 유동 사설 IP라면?

이 경우 이전에 접속하던 IP 주소로 접속하려고 하면 오류가 발생

네이버같은 '서버'에 우리와 같은 '클라이언트'가 접속하기 곤란

따라서 '서버' 역할을 하는 컴퓨터는 반드시 고유 주소가 필요

 

그렇다면 유동 IP는 서버 구축이 불가능할까?

DDNS(Dynamic DNS)

사용자가 도메인 주소로 '서버'에 접근할 때 가능합니다.

DDNS : "내가 A 서버의 아이피를 바꿨으니까 클라이언트가 해당 A에 도메인주소로 접근을 원할 때 DNS 너가 바뀐 IP 주소를 알려주도록 해"

 

@유튜브 나동빈

 

인터넷 설치는 어떻게 하나요?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 KT, LG 등)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ISP에서 인터넷 시스템을 구축해놓은 뒤 정부, 가정, 사업장, 교육 시설 등 인터넷을 제공해줍니다.

@유튜브 나동빈

 

가장 쉽게 서버를 구축하는 방법은?

호스팅 업체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간편합니다.

고정 공인 IP를 할당받을 수 있습니다.

완전히 나만의 아이피 주소가 생기기 때문에 간편합니다.

 

유동 아이피의 변경 방식

사례 : 저는 KT 인터넷을 신청했습니다. 공유기를 연결했을 때는 121.129.87.55라는 아이피를 받았습니다.

하지만 PC에 바로 연결을 하니 168.126.35.122라는 아이피를 받았습니다.

왜 다를까요? 그 이유는 MAC 주소를 토대로 아이피를 할당하는 유동 IP의 특성 때문입니다.

따라서 장치마다 IP 주소가 바로바로 바뀌게 됩니다.

MAC 주소는 각 컴퓨터마다 가지고 있는 고유의 주소, 물리적 주소입니다.

 

ipconfig 로 현재 내가 사용중인 IP 주소를 알 수 있습니다.

A 클래스로 갈수록 더 큰 기관이고 C 클래스로 갈수록 작은 기관이나 가정집에 할당된 IP 대역입니다.

저는 현재 카페에서 공부중이므로 192.168.56.1 C 클래스 대역에 있네요.

 

사설 IP의 단점

외부에서 내 컴퓨터를 찾아올 수 없습니다.

사설 IP 는 내부에만 의미가 있고 외부에서는 해당 IP로 접속이 불가능합니다.

전세계 수없이 많은 컴퓨터의 주소 192.168.0.2라는 아이피 주소는 전 세계에 몇개나 있을까요?

전화번호가 겹친다면 상대가 누군지 알 수가 없습니다.

하지만 공중전화는 받기는 불가능하지만 거는건 자유롭게 가능합니다.

따라서 공중전화는 클라이언트와 소통만 가능하다는 유사점이 있습니다.

 

사설 IP로 서버 운영하는 방법

포트 포워딩을 이용해야 합니다.

회사에서 부여받은 공인 IP 주소를 219.214.33.125라고 가정합니다.

세 대의 컴퓨터 192.168.0.2, 192.168.0.3, 192.168.0.4 를 사용합니다.

이 때 공유기가 219.214.33.125의 80번 포트로 들어오는 패킷을 192.168.0.3으로 보내주도록 작업을 합니다.

이렇게 하면 192.168.0.3 컴퓨터를 웹 서버 컴퓨터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특정 포트로 들어오는 패킷을 내부 컴퓨터로 넘겨주는 것을 포트포워딩이라고 합니다.

 

NAT

공유기가 하나의 공인 IP를 내부 사설 IP로 나누는 기술

사설 IP의 사용으로 내부망을 보호하는 역할도 수행합니다.

한정된 40억개의 공인 IP 한계를 보완해줍니다.

 

웹 서버의 운용

하나의 공인 IP에서 2대 이상의 웹서버를 운용하는 방법이 있을까?

웹 서버는 80번이라는 이미 정해진 포트를 사용합니다.

내부 호스트 192.168.0.2와 192.168.0.3이 둘 다 웹서버라고 가정해봅시다.

이때 포트번호를 192.168.0.2를 80번과 연결하고 81번을 192.168.03에 연결해서 한 개의 공인 IP를 포트별로 여러개의 웹 서버를 운용할 수 있습니다.

A.com -> 공인 IP -> 80번 포트 -> 192.168.0.2

B.com -> 공인 IP -> 81번 포트 -> 192.168.0.3

물론 도메인 주소는 각각 다르게 설정해야합니다.

 

IP 추적이 가능할까요?

공인 IP 주소를 가진다면 추적이 쉽습니다.

사설 IP라고 하더라도 수사권이 있는 경찰은 ISP 업체를 통해 추적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내 아이피 주소" 검색 후 "아이피 주소 위치 확인" 사이트에서 추적이 가능합니다.

저같은 경우는 제가 있는 곳 근처에 IP가 잡히는데요. 이게 왜 IP 주소가 정확하지 않냐면 공인 IP 주소에서 또 제가 지금 사용하고 있는 위치에 IP를 사설 IP로 할당해서 부여하기 때문에 그렇다고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