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표 계정root 계정 : root / rootmaster 계정 : 0421mk / 0421mk
VIM 사용법
- 저장 : ESC 누른 후 :w
- 저장 후 끄기 : ESC 누른 후 :wq!
- 그냥 끄기 : ESC 누른 후 :q!
- 수정 및 추가 모드로 전환 : a 누른 후 작업
- 수정 및 추가 모드로 끄기 : ESC
Bash Shell 기본 명령어
- ls : 파일 리스트 출력
- ls -l : 파일 리스트 출력(더 자세한 정보)
- ll : 파일 리스트 출력(더 자세한 정보)
- ls -al : 파일 리스트 출력(더 자세한 정보 + 숨김 파일까지 표시)
- clear : 화면 지우기
- pwd : 현재 위치 표시
- cd ~ : 자신(운영체제 사용자)의 개인 폴더로 이동
- cd /폴더명A/폴더명B : 루트 폴더를 기준으로 해당 폴더로 이동(절대이동)
- cd ./폴더명 : 해당 폴더로 이동(상대이동)
- 대부분의 경우 ./는 생략 가능 - cd .. : 상위 폴더로 이동(상대이동)
- rmdir ./폴더명 : 디렉토리 삭제(디렉토리안에 파일이 없어야함)
- mkdir ./폴더명 : 디렉토리 생성
- mkdir -p ./폴더명A/폴더명B : 디렉토리를 한번에 여러개 생성
- vim 문서파일명 : 문서파일을 수정하거나 만들기 위한 vim 에디터를 실행
- a : vim에서 수정모드로 변경
- esc : vim에서 메뉴모드로 변경
- 메뉴 모드에서 :wq : 저장한다. - rm 파일명 : 파일을 지운다.
- echo ~ : 현재 사용자의 폴더 경로를 화면에 출력한다.
- echo 1 : 1을 화면에 출력한다.
- echo "원숭이도 이해할 수 있는 git" : 내용을 화면에 출력한다.
- echo "원숭이도 이해할 수 있는 git" > sample.txt : 내용을 sample.txt 파일안에 출력한다.
- cat sample.txt : sample.txt의 내용을 화면에 출력한다.
- zip a.zip a.txt b.txt : a.txt와 b.txt를 a.zip으로 압축한다.
- unzip a.zip : a.zip의 압축을 푼다.
폰트 변경
- 윈도우 창, 우측 상단 로고 아이콘 클릭
- Options
- Text
- Font -> Select
Virtual Box 설치
Downloads – Oracle VM VirtualBox
Download VirtualBox Here you will find links to VirtualBox binaries and its source code. VirtualBox binaries By downloading, you agree to the terms and conditions of the respective license. If you're looking for the latest VirtualBox 6.0 packages, see Virt
www.virtualbox.org
- VirtualBox 6.1.22 platform packages, Windows hosts
- VirtualBox 6.1.22 Oracle VM VirtualBox Extension Pack, All supported platforms
- VirtualBox -> 환경설정 -> 확장 -> + 생성 -> VM VirtualBox Extension Pack 불러오기 -> 업데이트
CentOS7 설치
CentOS Mirrors List
isoredirect.centos.org
Virtual Box 호스트기 설정 및 기기 생성
- 호스트키 : Ctrl + Alt + Shift
CentOS7 설치 및 계정 생성
- VirtualBox => 새로 만들기
Name : centos7 - 이니셜
종류 : 리눅스
버전 : Red Hat 64 - 좌측바에서 내가만든 운영체제(centos7-이니셜) 선택
- 우측상단에 설정 누름
- 저장소 -> 컨트롤러 IDE 비어있음 클릭 -> IDE 세컨더리 마스터 우측 아이콘 클릭 후 -> 가상 광 디스크 파일 선택 -> 다운받은 centos iso 선택 ->CentOS-7-x86_64-DVD-2003.iso 클릭
- 설치 시 기본 웹 서버 체크
- 계정설정은 대표 계정(root / root)로 설정
스냅샷 만들기
- 왼쪽편 centos7 도구 버튼 -> 스냅샷 찍기(해당 시점으로 복원 가능)
반응형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rver] 아이피 주소와 서버 구축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1.09.29 |
---|---|
[Linux] 리눅스 입문부터 기초까지, 2일차 (0) | 2021.09.28 |
[JAVA] Null Pointer Exception 해결 (0) | 2021.09.28 |
[Java] 메타데이터 개념 정리 (0) | 2021.09.28 |
[JAVA] Map 개념 정리 (0) | 2021.09.28 |